_대문 | 방명록 | 최근글 | 홈피소개 | 주인놈 |
FrontPage › 범주론
|
|
문서 작성 중..
[edit]
1 1장 한 이름 다른 뜻인 것들, 한 이름 한 뜻인 것들, 갈려 나온 것들 #한 이름 다른 뜻인 것들
이름만 같이 갖고 그 이름이 따르는 뜻이 다른 것들(동음이의)을 말한다. 여기서 ‘뜻’은 ‘있음’을 의미하는데, ‘있음’은 다양한 사물을 정리, 분류한 기본 ‘틀’이나 ‘축’, ‘테두리’쯤으로 보면 된다. 존재적 관계는 없다. 한 이름 한 뜻인 것들
이름을 같이 갖고 이름에 따르는 뜻도 같은 것들(동음동의)을 말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동음동의어를 각각의 사물들의 상위개념을 말한다. 즉, ‘사람’과 ‘소’가 모두 ‘동물’이라는 상위개념으로써 포함되는 것을 말한다. 즉, ‘사람’과 ‘소’는 ‘동물’의 부분집합이다. ‘사람’과 ‘소’에 대한 각각의 뜻(있음)을 말할 때 그것들이 각각 동물로서 갖는 본질이 무엇인지 말할 때, 같은 뜻을 말할 것이기 때문이다. 주의해야 할 것은 ‘사람’과 ‘소’를 동물의 범주에서 이야기 할 때는 각각을 ‘동물’로 이야기 할 수 있지만, ‘직립보행’의 범주에서 이야기 할 경우는 한 이름 한 뜻이 될 수는 없다. 존재적 관계가 있다. 갈려 나온 것들
다른 어떤 것의 이름으로부터 어미만 좀 다르게 이름이 붙여진 것들(파생)을 말한다. 존재적인 의존성이 언어적인 파생관계에 드러난다. 다음의 그림을 보자. ![]() ‘문법학자’와 ‘용감한 사람’을 ‘사람’의 부분집합으로 표현했지만, 어떤 사람이 문법학자이며 용감한 사람인지 기준이 모호하므로 이런 예는 ‘집합’으로 이야기 하기에는 부적합하다. 하지만 절대적인 어떤 기준이 있다고 가정했을 경우 ‘사람’과 ‘문법’, ‘사람’과 ‘용감’은 관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무나 ‘문법학자’가 될 수는 없으며, ‘용감한사람’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존재적 의존성을 가진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edit]
2 2장 바탕이 되는 것 #‘바탕이 되는 것’은 ‘주어’를 말한다. 말들 가운데 어떤 것들은 결합되어 말해지며, 어떤 것을 결합되지 않고 말해진다. 예를 들어,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는 결합되어 말해진 것이며, ‘소크라테스’, ‘사람’은 결합되지 않고 말해지는 것들이다. 술어(..이다)에 자리에 올 수 있는 말들은 주어(바탕이 되는 것)에 대해 말해지지만, 주어의 범주에 속하지는 않는다. 즉, 소크라테스는 사람이지만, 사람이 소크라테스의 범주에 속하지는 않는다.
부분집합이 될 수 있는 규칙
![]()
* B: 바탕이 되는 것 안에 들어 있음(속성) * 개별적, 실체적인 것은 ‘인스턴스’라고 보면 된다. 실체의 파악
[edit]
3 3장 서술관계 #'이재학'은 '사람'이고, '사람'은 '동물'의 범주에 속한다. 하지만 사람과 동물과 같이 상하관계가 없는 것들은 차이성을 보인다. 예를 들어 상하관계가 아닌 동물의 하위 개념으로 뭍짐승, 날짐승, 물짐승을 차이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동물은 뭍짐승, 날짐승, 물짐승에 대해서 서술된다.
|
시간을 버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일주일 엿새 동안 낮 시간에 규칙 있게 일하는 것이다. (C. 힐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