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대문 | 방명록 | 최근글 | 홈피소개 | 주인놈
FrontPage › 리스크관리

Contents

[-]
1 개요
2 리스크 인지
3 리스크 분석
4 리스크 우선순위화
5 리스크 대처 계획
6 리스크 제어
7 참고자료


1 개요 #

리스크 관리 책임자는 리스크 대응 계획을 세우고 문제를 사전에 예방해야 하며, 프로젝트 전체 기간 내내 지속적이고 리스크를 발견하고, 정리하고, 공유하는 일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2 리스크 인지 #

리스크 인지
  • 리스크 관리자 뿐만아니라 모든 프로젝트 관련자는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리스크라고 생각되면 리스크 관리 책임자에게 알려야 한다.
  • 프로젝트에 생각보다 큰 영향을 끼치는 리스크가 많다.
  • 생길만한 리스크들은 모두 기록을 남겨서 관리하는 것이 좋다.

리스크 관리
  • 리스크를 수집하다 보면 프로젝트의 특정인에게 민감한 내용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리스크를 제기한 사람이 누구인지 숨기는 것이 좋다.
  • 리스크 인지는 프로젝트 전 기간에 걸쳐서 수행하는 활동이다.

리스크 수집 방법
  • 브레인스토밍
  • 인터뷰
  • 델파이 기법 - 각 분야의 전문가들에 대한 설문을 통하여 그들의 전문가적인 직관을 객관화하는 예측 방법(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사용)
  • SWOT 분석

3 리스크 분석 #

리스크 분류
  • 요구사항 변경
  • 일정 변경
  • 기술 실패
  • 외주 실패
  • 성능 부족
  • 관련 법정 변경
  • 인원 교체

리스크 분석
  • 발생 가능성(확률)
  • 발생 파급효과(영향)

4 리스크 우선순위화 #

  • E = 0.05(P/5 - 0.1)2I-1 (0.05*(P/5-0.1)*(2^(I-1))
    • E = 노출도(exposure)
    • P = 발생가능성(Probability)
    • I = 파급효과(Impact)
    • 출처: PMBOK 3rd Edition
  • 이 공식은 수식이 복잡하여 이해가 어렵고, 입력값이 파급효과와 발생가능성을 정확하게 산출하는 것이 어려워 현실에 적용하기 힘들다.
  • 아래의 표를 이용한다.
    risk01.jpg
    risk_table.xlsx

5 리스크 대처 계획 #

  • 부적적 리스크
    • 완화 - 부정적인 위협이 발생할 확률을 낮추거나 그 영향을 줄이는 방법
    • 회피 - 부정적인 위협을 제거하거나, 프로젝트와 관련이 없도록 분리하거나, 프로젝트 계획을 변경하여 해결
    • 전가 - 부정적인 위협을 제 3자에게 전가
  • 긍정적 리스크
    • 활용 -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진 리스크가 확실히 일어나도록 해서 특정 상위 리스크와 관련된 불확실성을 제거
    • 공유 - 긍정적인 리스크를 제 3자와 공유하여 이익을 극대화
    • 향상 - 긍정적인 리스크가 발생할 확률을 증가시키고, 긍정적인 요소를 최대화

6 리스크 제어 #

7 참고자료 #

아.. 도서관에서 정리해 온건데.. 안적어 왔네요..

댓글 남기기..
이름: : 오른쪽의 새로고침을 클릭해 주세요. 새로고침
EditText : Print : Mobile : FindPage : DeletePage : LikePages : Powered by MoniWiki : Last modified 2018-04-13 23:12:52

사랑이 손을 내밀면 비켜서거나 물러서지 마라. 사랑을 하기도 전에 사랑의 비극적인 종말을 예감해 외면한다는 것은 바보짓이다. (이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