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moniwiki/imgs/plugin/arrup.png)
![[+] [+]](/moniwiki/imgs/plugin/arrdown.png)
- 1 개요
- 2 리스크 인지
- 3 리스크 분석
- 4 리스크 우선순위화
- 5 리스크 대처 계획
- 6 리스크 제어
- 7 참고자료
리스크 관리 책임자는 리스크 대응 계획을 세우고 문제를 사전에 예방해야 하며, 프로젝트 전체 기간 내내 지속적이고 리스크를 발견하고, 정리하고, 공유하는 일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2 리스크 인지 #
리스크 인지
- 리스크 관리자 뿐만아니라 모든 프로젝트 관련자는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리스크라고 생각되면 리스크 관리 책임자에게 알려야 한다.
- 프로젝트에 생각보다 큰 영향을 끼치는 리스크가 많다.
- 생길만한 리스크들은 모두 기록을 남겨서 관리하는 것이 좋다.
리스크 관리
- 리스크를 수집하다 보면 프로젝트의 특정인에게 민감한 내용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리스크를 제기한 사람이 누구인지 숨기는 것이 좋다.
- 리스크 인지는 프로젝트 전 기간에 걸쳐서 수행하는 활동이다.
리스크 수집 방법
- 브레인스토밍
- 인터뷰
- 델파이 기법 - 각 분야의 전문가들에 대한 설문을 통하여 그들의 전문가적인 직관을 객관화하는 예측 방법(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사용)
- SWOT 분석
3 리스크 분석 #
리스크 분류
- 요구사항 변경
- 일정 변경
- 기술 실패
- 외주 실패
- 성능 부족
- 관련 법정 변경
- 인원 교체
리스크 분석
4 리스크 우선순위화 #
- E = 0.05(P/5 - 0.1)2I-1 (0.05*(P/5-0.1)*(2^(I-1))
- E = 노출도(exposure)
- P = 발생가능성(Probability)
- I = 파급효과(Impact)
- 출처: PMBOK 3rd Edition
- 이 공식은 수식이 복잡하여 이해가 어렵고, 입력값이 파급효과와 발생가능성을 정확하게 산출하는 것이 어려워 현실에 적용하기 힘들다.
- 아래의 표를 이용한다.

risk_table.xlsx
5 리스크 대처 계획 #
- 부적적 리스크
- 완화 - 부정적인 위협이 발생할 확률을 낮추거나 그 영향을 줄이는 방법
- 회피 - 부정적인 위협을 제거하거나, 프로젝트와 관련이 없도록 분리하거나, 프로젝트 계획을 변경하여 해결
- 전가 - 부정적인 위협을 제 3자에게 전가
- 긍정적 리스크
- 활용 -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진 리스크가 확실히 일어나도록 해서 특정 상위 리스크와 관련된 불확실성을 제거
- 공유 - 긍정적인 리스크를 제 3자와 공유하여 이익을 극대화
- 향상 - 긍정적인 리스크가 발생할 확률을 증가시키고, 긍정적인 요소를 최대화
7 참고자료 #
아.. 도서관에서 정리해 온건데.. 안적어 왔네요..